팩토리_RED > 전문가 섹스칼럼
세시풍속과 성문화  
0

영화 <가루지기>
 
'세시풍속'에서 정월 대보름은 ‘까마귀 제삿날’이기도 하다. 신라 소지왕 때, 까마귀가 왕의 행차에 편지를 떨어뜨리고 날아갔다. 겉봉에 ‘뜯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안 뜯어보면 한 사람이 죽는다’라고 적혀있었다. 왕이 “두 사람이 죽는 것보다 한 사람이 죽는 것이 낫다”며 뜯지 않으려 하자, 영민한 신하가 “한 사람은 바로 왕입니다”라며 극구 뜯어볼 것을 간청했다. 뜯어보았더니, 궁중의 불사를 담당하는 승려와 왕비가 정을 통하고 반역을 꾀한다는 내용이었다. 이때부터 정월 대보름에 약밥을 만들어 까마귀에게 제사를 지내주었다.
 
정월 대보름은 연인의 날이기도 했다. 신라 시대부터 있었던 정월 대보름의 탑돌이 풍속은 청춘 남녀가 탑을 돌다가 눈이 맞으면 사랑을 나누던 신나는 축제였다. 생면부지의 남녀가 탑을 돌다가 서로 끌리면 숲으로 들어가 야합(野合)을 하고, 정분이 들면 부모의 반대나 신분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결혼을 하기도 했다. 어찌 보면 지금보다 더 개방적인 연애를 즐겼다. 탑돌이 풍속은 조선 시대까지 번성했으나, 한양 원각사의 탑돌이로 염문이 끊이지 않자 유학자들의 날 선 상소문이 끊이지 않았고, 결국 세조가 금지령을 내렸다.
 
유부녀들도 이날만큼은 마음껏 자유를 즐겼다. 초저녁에 횃불을 들고 언덕에 올라가 달뜨는 것을 기다리거나, 다리에 병이 생기지 않기를 바라면서 수표교를 밟는 행렬을 따라다녔다. 달맞이가 끝나면 남정네와 여인네들이 편을 갈라 줄다리기를 했는데, 여인네들이 이겨야 풍년이 든다고 해서 남정네들이 슬그머니 져주었다. 달은 '음'으로 생산과 풍요를 상징했다.
 
세시풍속이 이처럼 성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은 농경사회였기 때문이다. 농경사회는 작물 생산에 모든 것을 의존했다. 심지어 소변도 남녀를 구분해 활용했다. 자식을 낳는 여성의 소변은 과실수에 남성의 소변은 정원수에 거름으로 뿌렸다.
 
또 가뭄이 들면 달 밝은 밤에 여성들이 마을 앞산에 올라 집단 방뇨를 했다. 소변을 보는 것은 비를 내리는 행위와 유사했으며, 밝은 달빛에 엉덩이를 노출하는 것은 '양'에 해당하는 하늘신을 성적으로 자극해 비를 뿌려주길 소망한 것이다.
 
새봄을 맞아 처음으로 씨앗을 뿌릴 때면 마을의 수총각(首總角)이 알몸으로 쟁기질을 했다. 마을 총각의 우두머리로 힘세고 건장한 총각이 알몸으로 쟁기를 끌어 한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한 것은 땅의 신과 벌이는 일종의 유사 성행위였다.
김재영 원장
퍼스트 비뇨기과 원장
ISSM(세계성의학회) 정회원 / KBS, MBC, SBS 방송 다수 출연
http://www.firstclinic.co.kr
 
· 주요태그 섹스칼럼  
· 연관 / 추천 콘텐츠
 
    
- 글쓴이에게 뱃지 1개당 70캐쉬가 적립됩니다.
클리핑하기  목록보기